백남준 탄생 90주년 특별전 '필드 기억'
백남준 탄생 90주년 특별전 '필드 기억'
  • 장미라 기자
  • 승인 2022.08.25 09: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백남준아트센터가 커미션. 미술가 김희천과 음악가 이옥경이 협업한 전시 
▶ 시각적인 요소를 배제한 채 소리로만 구성한 다채널 사운드 작품.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관장 김성은)는 8월 25일부터 11월 20일까지 1층 랜덤 액세스 홀에서 《필드 기억 Field Memory》을 개최한다.

 

전시 제목이자 작품인 <필드 기억>은 백남준 탄생 90주년을 맞아 백남준아트센터 커미션으로, 미술가 김희천과 음악가 이옥경이 함께 만든 다채널 사운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본 것은 기억하지 못하고 들은 것만 기억하게 된 어떤 사람의 이야기를 다룬다.

수면장애가 있는 주인공은 수면진정제를 처방받기 시작한 어느 날, 술과 함께 수면진정제를 복용하다 의식을 잃는다. 가까스로 깨어난 그의 뇌에는 알 수 없는 문제가 생기는데, 눈으로 본 것이 아닌 오직 귀로 들은 것만을 기억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달라진 기억 방식에 주인공은 무척 당황하지만, 그는 일단 녹음기를 가지고 다니며 그를 둘러싼 소리를 녹음 장치에 담아낸다. 그리고 자신이 본 것과 떠오르는 생각을 목소리로 뱉어내며 기억을 붙잡기 위한 녹음을 시작한다. 그의 삶은 시각 중심적 위치에서 청각으로 움직이게 된다.

작품 <필드 기억>은 갑작스러운 사고로 기억의 방식이 달라진 주인공의 이야기에 따라 전개된다. 일인칭 시점에서 주체적/주관적으로 구성된 기억은 ‘소리의 기억’이라는 특수성을 지닌다. 기억하기 위해 또는 기억을 잃지 않기 위해 주인공이 녹음하는 행위는 영화나 드라마 제작 과정에서 현장 소리를 직접 녹음하는 ‘현장 녹음(field recording)’과 닮았는데, 이는 작품 제목 ‘필드 기억’에 대한 힌트가 된다. 작품 속 소리는 두 가지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이야기의 서사를 끌고 가는 소리, 즉 스튜디오에서 낭독과 효과음으로 만든 ‘라디오 드라마’이며, 다른 하나는 주인공이 직접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일상적인 소리이다. 특히 후자에 속하는 통화 녹음, 음성 메모들, 친구들과의 보이스 메시지 등은 주인공의 내밀한 감정을 들여다보게 하는데, 파편적으로 느껴졌던 각각의 소리는 어느새 서사의 구조를 만들며 관객들로 하여금 소리가 가지는 기억에 집중하게 한다. 

김희천과 이옥경의 신선한 협업은 백남준아트센터의 제안으로 이루어졌다. 김희천은 비디오와 설치를 통해 가상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을 하며, 이옥경은 첼로 즉흥 연주와 실험적인 퍼포먼스 등을 통해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다. 두 작가는 활동 분야가 서로 다르지만 새로운 예술의 언어를 창조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다는 점, 그리고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많은 동료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작품 〈필드 기억〉에서 김희천은 아무런 시각적인 요소 없이 낭독 및 지인들의 음성 메시지와 같은 사운드 작업을 제작했으며, 이옥경은 첼로 연주 대신 작곡가로서 다층적인 소리의 구조를 고안하였다. 두 작가는 그동안 각자에게 익숙했던 작업 방식에서 벗어나 이번 협업을 통하여 공동의 성취를 이루어내었다. 시각 대신 청각적 몰입을 요청하는 <필드 기억>은 우리가 익숙한 것으로부터 얼마만큼 떠날 수 있는가에 대한 실험이자 동시에 우리 감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시도한다.

김희천, 이옥경 참여작가

* 랜덤 액세스 홀
《필드 기억》이 선보일 공간 랜덤 액세스 홀은 도서관을 리노베이션하여 2022년 새롭게 조성된 공간이다. 공간 이름인 ‘랜덤 액세스’는 백남준의 첫 개인전 《음악의 전시 – 전자 텔레비전》(1963)에서 선보였던 작품 〈랜덤 액세스〉에서 가져왔다. 〈랜덤 액세스〉는 벽에 부착된 오디오 카세트의 테이프를 활용하여 관객이 마그네틱 헤드로 자유롭게 소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한 참여형 작품이었다. 랜덤 액세스 홀은 이러한 즉흥성과 비결정성, 상호작용, 참여 등 〈랜덤 액세스〉의 주요 키워드를 공간적으로 풀어냈다. 심포지엄, 교육, 이벤트 등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하게 될 랜덤 액세스 홀에서 처음 선보이는 전시 《필드 기억》은 백남준의 작품과 같이 관람자들에게 작품뿐만 아니라 이 공간을 자유롭게 누릴 것을 요청한다. 영상의 시작과 끝, 즉 러닝타임과 같은 시간의 강박도 없이, 설명문이나 설치 등의 시각적인 요소들도 모두 배제된 공간에서 관객들은 자신의 움직임에만 기댄 채 소리로 쏟아지는 몰입의 경험을 가진다.